본문 바로가기
  • 우즈베키스탄 눈으로 돌아다니기 :D
우즈베키스탄 근황, 생활

우즈베키스탄 코로나에 이어 온 재앙 대홍수 그 후..+ 환경에 대한 고찰 / + 미니멀라이프 Minimal life

by 그린자까 2020. 6. 7.
반응형

 

 5월 1일, Syr Darya에 엄청난 일이 있었습니다. 

댐 누수가 생겨, 댐이 무너진 것입니다. 

Syr Darya는 지쟉JiJak 근처 구역입니다. 우즈베키스탄 수도인 타슈켄트와, 관광지로 유명한 사마르칸트, 중간에 있는 곳입니다. 댐에 누수가 생기고, 물의 힘에 이기지 못해 댐이 무너져, 마을이 잠겨, 인적, 경제적 손실이 정말 컸습니다. 다행히, 많은 사람들이 후원했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한 달 후인 지금은 어떨까요?

 

 한 달이 지났지만, 여전히 일부 사람들은 대피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여권을 잃어버리거나, 가축이 죽어, 엄청난 피해를 받았다고 합니다.

 

 

 

 

 

어떤 자연재해가 생기면, 그것을 정리하고, 물질적 손해를 보충해 주었다는 것에 그치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자연재해로 자신의 주거공간, 쉼터가 무너지거나 손상되었을 때, 집이 없어 방황하게 됩니다. 그러한 정신적 피해들과, 다시 새로운 집에 정착하기 위해 들여야 해서, 많은 고통이 더 따르게 됩니다.

 

 댐 누수와 관련된 이 일은 마음이 정말 아픕니다. 자연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자연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뿐더러, 자연의 엄청난 힘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합니다.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만, 우리에게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우리가 풀지 못한  원자력 발전소, 댐과 같은 자연을 이용하는 시설들에서 생기는 문제들과, 지진, 태풍, 홍수, 가뭄 등등 자연의 현상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더 지구온난화의 추세로 머지않아, 5년 안에 증가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적도 부근 지역에서는 사람이 살 수 없는 지역이 생길지도 모릅니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올해 겨울의 월동의 온도가 올라가, 따뜻한 한 해를 보내면서, 해충들이 살기 좋은 환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매미나방, 모기, 파리, 메뚜기 떼 등등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이런 것들을 풀기 위해서는,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활을 개개인이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싸고, 편하게 살 수 있었던 것들은 미래의 자신의 아이들 세대의 자원들을 미리 당겨와(빌려와) 쓰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럴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래서 요즘, 자연에 대한 전기자동차, 태양에너지, 수열 에너지 등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니멀 라이프 또한 개개인이 지킬 수 있는 삶의 방식 중 하나인데, 지금 자신의 방을 보십시오. 어지럽혀지진 않았습니까? 아무리 치워도 어지러워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당신이 가지고 있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정리하며 막상 버릴 때, 더 쓸 수 있는 것들이 눈에 들어와 버리시는 못하는 경우가 있으시진 않으십니까?

 비우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정말 필요하고, 중요한 것들만 남기고, 비우는 것.. 당신의 삶을 더 여유롭고, 편하게 할 것입니다. 우리의 공허한 정신 채워주며, 더불어 환경을 생각하는 습관이 됩니다.

 

소비방식도, 무조건 싼 것이 아닌, 천연 수세미, 변기에 넣으면 녹는 휴지 등등 환경을 생각하며 생활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재활용하는 플라스틱, 종이... 대부분 재활용이 되지 않는 플라스틱, 종이가 있다는 것 알고 계셨습니까?

 

 몇백 년을 썩지 않으며, 그 상태 그대로 땅에 묻히게 됩니다... 자연의 불순물을 쓰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텀블러, 반찬통을 들고 다니며, 빨대, 일회용품, 비닐봉지들을 아끼는 습관...

 

환경을 생각하며, 보다 나아가, 미니멀 라이프를 실천하면, 중요한 것만 남기며, 물건 하나하나를 소중히 여기게 될 것입니다. 현대의 우리의 공허함을 소비함으로써 푸는 게 아닌, 비움으로써 해결하는 멋진 현대인이 되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